M.Lab – Motion & Life Archive

작업과 일상의 기록. 감각을 실험하고, 기억을 아카이빙합니다. Still & Motion, 모두를 담는 공간. – by 미온

🧪 Review & Info/└ 유용한 정보 (윈도우, 생활꿀팁 등)

✅ [정리] EPR 제도란? 생산자가 끝까지 책임지는 재활용 시스템

M.Lab (미온랩) 2025. 5. 4. 09:00

📌 [광고] 이 게시물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
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
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요즘, 우리 사회는 '생산'보다 '처리'에 대한 책임을 묻기 시작했습니다.
그 중심에는 바로 EPR 제도(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,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)가 있습니다.


📌 EPR 제도란?

**EPR(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)**는 제품을 만든 생산자(기업)가 해당 제품이 사용된 이후 발생하는 폐기물의 수거 및 재활용까지 책임지는 제도입니다.
쉽게 말해, "만든 사람이 끝까지 책임지자"는 정책이죠.

🔄 핵심 내용 정리:

  • 기업은 제품을 팔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,
    제품의 폐기 이후까지도 관리해야 합니다.
  • 주로 전자제품, 포장재, 타이어, 윤활유, 형광등, 건전지
    재활용 가능한 품목이 대상입니다.
  • 재활용 의무를 직접 이행하거나,
    **공제조합(E순환거버넌스 등)**에 위탁하여 이행할 수 있습니다.
  • https://www.k-erc.kr/esg/status.do
 

E-순환우수제품, 이순환우수제품

E-순환우수제품, 이순환우수제품, 친환경제품, 친환경전자제품, 친환경 인증, E-순환우수제품 인증, 이순환우수제품 인증

www.k-erc.kr


🧩 왜 이런 제도가 필요할까?

  1. 환경 오염 방지
    → 전자제품과 플라스틱 포장재는 분해에 수백 년이 걸립니다. 방치할수록 환경오염이 심각해집니다.
  2. 자원 순환 촉진
    → 금속, 유리, 플라스틱 등 유용한 자원을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습니다.
  3. 생산자의 책임 강화
    → 생산단계에서부터 재활용 가능한 소재나 구조로 만들도록 유도하게 됩니다.

🏢 한국의 대표적 운영체계 – E순환거버넌스

국내 EPR 제도의 대표적 실천기관 중 하나가 바로 E순환거버넌스입니다.
이곳은 생산자(회원사)의 의무를 대신하여 전자제품 등의 폐기물 수거 및 재활용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.

✔️ 주요 역할:

  • 전국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 운영
  • 재활용 시설 및 이행 실적 관리
  • 투명한 재활용 이행 보고

💡 소비자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?

EPR 제도는 생산자 중심의 정책이지만,
소비자인 우리가 올바른 분리배출, 폐가전 무상수거 신청, 재활용 의식 강화 등을 실천하면 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됩니다.


📌 관련 포스팅도 함께 보기:


🌿 이 글은 ‘미온’의 아카이브 공간
[M.Lab – Motion & Life Archive]에 기록된 "유용한 정보"입니다.
소소한 팁들이 당신의 하루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:)